리더십저니
리더십 라이브러리
리더스 라운지
리더십 코칭
그룹코칭
리더십 북클럽
터닝포인트 팀장리더십스쿨
마이리더십 플레이북
Executive Leadership School
공지사항
자주 묻는 질문
휴넷 리더스아카데미 브랜드 소개
APP 설치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멤버십 가입하기
리더십저니
터닝포인트 팀장리더십스쿨
마이리더십 플레이북
Executive Leadership School
로그인
리더십 라이브러리
리더스 라운지
리더십 코칭
그룹코칭
리더십 북클럽
리더십저니
리더십 라이브러리
리더스 라운지
리더십 코칭
그룹코칭
리더십 북클럽
멤버십 가입하기
성과
12 min read
우승을 빚어내는 리더의 조건
좋아요
6
후기
1
KaKao
facebook
Link
#형님 리더십
#도전 문화
#KIA 타이거즈
좋아요
6
후기
1
KaKao
facebook
Link
이전 글
8 min read
조직
신임 팀장을 위한 HR팀 활용 메뉴얼
(1) 사내정치는 조직 내 이해관계 조정과 질서 유지를 위한 필수적 요소로, 단순히 부정적 기술로만 볼 수 없습니다. (2) 팀장은 성과관리와 사람관리를 위해 조직 내 권력 획득과 유지, 이해관계 조정을 포함한 정치력이 필요합니다. (3) HR부서는 사내정치의 핵심 파트너로, 조직과 팀의 성장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HR부서를 감시자('Detective')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경력 설계자('Career Planner')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신임팀장은 HR부서에 긍정적인 인상을 주고, 팀의 기여를 자연스럽게 드러내며 협력관계를 형성해야 합니다. (6) HR과 신뢰가 구축된 팀은 더 많은 자원과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팀장의 영향력도 강화됩니다. (7) HR을 동반자로 활용하면 사내정치 경험과 자원을 통해 팀의 성과와 입지를 크게 강화할 수 있습니다.
5
3
다음 글
7 min read
조직
비보직 고경력자의 새로운 역할
(1)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직 내 비보직 고경력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조직 구조 변화, 고용 안정 추구, 직급 체계 단순화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2) 이들은 오랜 재직 기간 동안 축적한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지만, 업무와 역할 축소로 인해 자신감 상실 및 심리적 위기에 놓이기도 합니다. (3) 특히 젊은 리더와의 협업에서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거나, 조직 내에서 이들의 역할이 모호해지는 경우 조직 성과와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비보직 고경력자의 긍정적 특징으로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 인적 네트워크가 있으며, 부정적으로는 수동적 태도, 불안감, 조직과의 단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조직과 리더는 이들의 주관적 경력 성공에 초점을 맞추고, 지식과 경험을 형식지와 암묵지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6) 또한, 이들을 조직 내 연결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리더에게는 모범형 팔로워, 후배들에게는 서번트 리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7) 비보직 고경력자의 가치를 재창출하고 이들이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7
2
안병민 대표
-열린비즈랩 대표 [경영혁신/리더십/AI] 연구/강의/자문 -저서: [마케팅 리스타트]+[경영 일탈]+[그래서 캐주얼]+[숨은 혁신 찾기]+[사장을 위한 노자]+[주4일 혁명]
자세히 보기
후기
첫 후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