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다 보면 자꾸 말이 꼬이거나 핵심이 흐려질 때가 있었는데, PREP 화법 콘텐츠를 보고 완전 도움이 되겠다 싶었어요~
회의나 피드백할 때 한 번씩 써보면, 말이 훨씬 깔끔해질 것 같네요!

요즘 제일 고민되는 게 팀에 얼마나 개입해야 할지예요.
팀원들을 믿고 맡기자니 방향이 흐려질까 걱정되고,
반대로 제가 관여하자니 조금 과하게 느껴질까 조심스럽고…
결국 어느 정도 개입해야 적절한 건지, 정답이 뭘지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
작은 선택 하나에도 계속 마음이 오락가락하는 것 같아요ㅠ
“우리가 건강한 실패 문화를 가졌는지 어떻게 알죠?”
수많은 기업 관리자가 이런 질문을 한다.
그러면 나는 그 회사 업무에 불확실성, 참신성, 상호 의존성이 포함됐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그리고 되묻는다.
“당신이 한 주 동안 보고받은 사항 중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발전 사항과 문제 사항’, ‘동의와 반대’, ‘모두 괜찮음과 도와야 함’에서 각 답변의 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8장 “옳은 실패로 성공하라」 중에서
📚 『옳은 실패, 실패는 횟수가 아니라 방법이다』
리더십저니가 선정한 8월의 추천도서입니다 🌱

항상 자기계발을 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시작하려니 무엇부터 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AI가 화두이니 기본적인 이해는 필수라고 느끼지만,
그 외에 리더로서 어떤 성장 영역이 더 우선될지 고민이 되네요.
다른 분들은 어떤 방향으로 자기계발을 하고 있으신가요?
오늘 정말 몰입해서 훅!! 보다가
마지막 질문을 보고 잠시나마 생각해볼 시간을 가져봤어요 !!!
나의 명함에 회사명과 직급말고 뭐를 또 쓸 수 있을까...
물론 팀장이라 성과가 매우 중요하지만
성과만을 보고 달려가는 사람이 되고 싶진 않은데,
어렵습니다 ㅎㅎ
성장을 통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

문장 스크랩, 오늘 처음 써봤는데 너무 좋네요!
아티클에 대한 문장, 언젠가 써먹고 싶은 표현, 정보들까지 쏙쏙 저장해두고 다시 보고 싶을 때 편하게 볼 수 있고 제 생각까지 써서 저장할 수 있네요~
“이 문장 어디서 봤더라…” 하는 일 없어, 앞으로 자주 애용하게 될 것 같아요~😊

일하는 방식에도 합의가 필요하다
이 질문들을 우리 팀에도 적용해 보면 어떨까요? 🤔
- 나는 문제를 위기로 보는 편인가, 기회로 보는 편인가?
- 나는 데이터 → 직감 순서로 판단하는가, 아니면 직감 → 데이터 순서로 움직이는가?
- 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편인가, 아니면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는 편인가?
온라인 익명 투표 툴을 사용해도 좋고, 간단히 스티커 투표를 해도 좋습니다.
놀랍게도 같은 팀에서 일하면서도 서로 완전히 다른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걸 발견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
"핵심은 누가 옳고 그르다”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 “우리 팀은 어떤 방식으로 갈 것인가?”를 합의하는 데 있습니다.
🔖 출처: [리더십저니] 합의된 '일하는 방식'으로 곱셈의 성과를 만들어라

[새 기능 안내] 마음에 드는 문장, 이제 ‘스크랩’하세요!
리더십저니의 아티클을 읽다가 “이 문장, 꼭 기억해두고 싶다!” 한 적 있으시죠?
이제 원하는 문장을 스크랩하고, 나만의 생각이나 느낀 점을 메모로 남겨 보세요!
💡 이렇게 사용하세요
1. 문장 스크랩 – 아티클에서 원하는 문장을 드래그 후 ‘문장 스크랩’ 클릭
2. 메모 – 스크랩한 문장에 나만의 생각·느낌을 간단히 적기
3. 문장보관함 – 내가 모은 문장과 메모를 한곳에서 확인
4. 이미지 저장 & 공유 – 보관한 문장을 이미지로 다운로드하거나 SNS로 공유
지금부터 나만의 문장을 스크랩하고, 떠오른 생각은 메모하고,
동료 리더나 SNS에 공유해 보세요! 📚✨

리더가 되고나서 책임감과 여러 고민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일 때가 많아졌습니다…
주변을 보면 다들 취미나 운동으로 푼다는데 저는 딱히 떠오르는 게 없네요ㅠ 다들 스트레스 어떻게 해소하시나요?😥
"분명히 지시했는데… 왜 이렇게 해왔지?"’라는 말, 해본 적 있으신가요?
문제는 ‘얼마나 구체적이고 맥락 있게’ 전달됐느냐에 있습니다.
💡 업무 지시 4단계 프로세스
1️⃣ WHY (이유) – 업무의 목적과 필요성 설명
"이번 신제품은 우리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입니다. 특히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과는 다른 마케팅 접근이 필요합니다."
2️⃣ WHAT (주제) – 수행할 업무의 내용과 범위 전달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① 소셜미디어 활용방안, ② 인플루언서 협업 계획, ③ 바이럴 마케팅 전략으로 나누어 진행해주세요."
3️⃣ HOW (방법) – 업무 진행 가이드라인 제시
"경쟁사 A의 최근 캠페인을 벤치마킹하되, 우리만의 차별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산은 5천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4️⃣ 회고 – 업무 종료 후 복기, 조직 차원의 지식 축적
"이번 프로젝트에서 잘된 점은 무엇이고, 아쉬운 점은 무엇인가요? 다음에 비슷한 업무를 진행한다면 어떻게 더 잘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 "센스 있게 해봐~" 대신,
이 4단계 프로세스로 업무를 지시해 보세요.
작은 변화가 팀의 성과를 바꿉니다. 🚀

눈과 혀가 각각 다른 이야기를 할 때 사람은 눈이 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리더십저니 영상을 보다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힘이 정말 크다는걸 새삼 깨달았어요 #-#

GPT-5, 뭐가 달라졌나? — 리더를 위한 3분 브리핑
1️⃣ 더 정밀해진 이해력
이전에는 긴 보고서나 복잡한 요청을 주면 핵심을 놓치기도 했지만,
GPT-5는 10페이지짜리 전략 보고서도 “핵심 메시지 5줄”로 정확하게 요약합니다.
💬 예: “이 보고서를 임원회의에서 3분 안에 발표할 수 있는 버전으로 요약해줘.”
→ 핵심 수치, 주요 리스크, 다음 액션까지 깔끔히 정리.
2️⃣ 멀티모달(Multimodal) 지원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표·차트·음성을 함께 이해합니다.
💬 예: “이 매출 그래프와 경쟁사 제품 사진을 보고, 어떤 시장 전략이 유리할지 분석해줘.”
→ 그래프 트렌드와 제품 포지션을 함께 고려한 전략 제안.
3️⃣ 실시간 업데이트 가능
웹 검색과 연동해 최신 정보로 답변합니다.
💬 예: “이번 주 우리 산업에 영향을 줄 정책 변화를 찾아 요약해줘.”
→ 법안 개정안·언론 보도·시장 반응까지 실시간 반영.
4️⃣ 더 자연스러운 대화
사람과 대화하듯 부드럽고 맥락을 유지합니다.
💬 예: “아까 얘기한 팀 빌딩 아이디어에서 예산 30만 원 이하로 가능한 버전으로 바꿔줘.”
→ 대화 흐름을 기억하고, 조건만 수정해서 새로운 제안.
오늘 한 가지 요청부터 시작해 보세요.